본문 바로가기
학교자료

신 조합주의 Neo Corporatism_국가 및 사회 조합

by reviewer_life 2014. 1. 21.
반응형

신 조합주의 Neo Corporatism

 

 

 

 

 

 

1970년 석유위기(오일쇼크) 1, 2

1960년말 부터 선진 자본주의 경제 성장 둔화 시작.

대표적 복지국가들인 서구 경제 위기가 닥침.

 

경제 위기 자본축적 위기 사회 통합의 위기 권력의 정통성 위기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구조로서 고전적 다원주의 이론이 가지는 한계 극복 위한 신 조합주의

, , 정의 중재 하의 계급 타협(협조, 합의) 평화적 방법으로 위기 극복 - 신조합주의

 

라틴 아메리카의 군사독재하에서 조합이 나옴 ; 국가 조합주의

 

Schmitter 조합주의 - 국가조합주의(배제적 조합주의) 강제 참여, 통제

사회조합주의(융합적 조합주의) 자율 참여, 자발적 노력

 

1) 국가조합주의 : 국가 통치권력 강화를 위한 강제적으로 편성된 이익 대표 체계

국가 보조 기관, 권위주의적 조합주의, 강자 중심의 정책 운영

 

2) 사회조합주의 : 후기 자유주의적 선진민주복지국가에서 나타나는 유형. 국가 통치력 약화에 따른 통치력 보강과 사회경제적 위기 해소를 위해 이익 집단에 의존하는 것. 협력, 이익집단의 자율성.(권한 일부를 사회단체에 이양) 결정 권한을 사회집단과 노동집단에 넘겨줌.

 

* 역사적 위치 - 선진 자본 주의 사회의 구조변화를 기초로 케인즈 주의와 다원주의 모델의 한계 극복의 이론적 모색. Tri-Partism의 형태로(노동자, 사용자, 정부) 노사의 이익 집단 대표가 국가 관료제에 매개되어 노사관계에 관련된 정책결정에 항상적으로 참가한다.

 

* 문제점

1) 거대 단체 특권부여(국가정책결정, 집행)

2) 공적 감시망의 부재 폐쇄적 엘리트들의 부도덕한 협상

3) 단위노조에서 거부하더라도 강제권한 없음 결정권은 있지만 강제력 없음.

 

* 우리나라 - 공적 발표, 이면적 합의가 문제

* 시장 실패, 정부 실패로 시장, 정부 x - 비영리기관, 비정부기관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육적 사회 서비스 제공, 복지 국가 대체하는 유일한 대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