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와 좋은글

[좋은 시] 꽃을 위한 서시_김춘수

by reviewer_life 2014. 6. 26.
반응형

꽃을 위한 서시_김춘수

 

 

 

나는 시방 위험(危險)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눈시울에 젖어드는 이 무명(無名)의 어둠에

추억(追憶)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내 운다.

 

나의 울음은 차츰 아닌밤 돌개바람이 되어

탑()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이 될 것이다.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新婦)여.

 

<감상 평>

존재론적 입장에서 사물에 내재하는 본질적 의미를 추구하는 이 시는 앞에서 설명한 시 <꽃>에 대한 '서시(序詩)'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꽃>이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화자가 남에게 바르게 인식되고 싶어하는 소망을 노래한 것이라면, 이 시는 그와 반대로 인식의 주체로서의 화자가 존재의 본질을 인식하고자 하는 소망을 읊은 작품이다.

 

이 시에서 '꽃'이 사물의 본질을 상징한다면, '미지''어둠''무명' 등은 사물의 본질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상태를 뜻하며, 화자는 그 무명의 세계에서 벗어나 사물의 본질, 즉 꽃의 의미를 파악하려고 몸부림치는 존재이다.

 

1연에서 화자는 사물의 본질을 모르는 자신을 '위험한 짐승'이라 하여 무지에 대한 자각을 보여 주고 있으며, 2연에서는 자신의 자각 없이는 '꽃' 역시 불완전한 상태임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3연에서는 '추억의 한 접시 불'이라는 모든 지적 능력과 체험을 다하여 존재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화자의 몸부림과 절망을 '나는 한밤내 운다'로 표현하고 있으며, 4연에서는 비록 존재의 본질을 깨닫지는 못했어도 그것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 ― '나의 울음' 그 자체가 아름다운 것이라는 역설적 깨달음을 보여 주는 한편, 마지막 연에서는 결국 존재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고 만 자신의 안타까움을 '얼굴을 가리운 신부' - 꽃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해를 위한 질문들>

1. 화자는 누구인가?

☞ 나

 

2. 대상 혹은 듣는이는 누구인가?

☞ 너

 

3. 화자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울고 있다.

 

4. 그 이유가 뭘까? 화자가 울고 있는 이유를 짐작할 수 있는 연을 찾아 보자.

☞ 1연 (나는 위험한 짐승이다. 왜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의 어둠 이 된다)

☞ 2연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 절망적 상황이란 게 대충 짐작이 가긴 하지만 좀 어렴풋하다.

좀더 구체화시켜 보자.

 

5. 시적 대상을 가리키는 다른 시구를 찾아 보아라.

☞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 얼굴을 가린 나의 신부

 

6. 이로 미루어 볼 때 대상은 화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 지고 있는가 ?

☞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 : 알수 없는 존재

☞ 얼굴을 가린 나의 신부 : 다가가고 싶으나 접근을 쉬 허락하지 않는 존재

 

7. 화자의 심정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시어를 찾아 보고 그것들을 통해 화 자의 심정을 이야기 해보자.

☞ 나는 위험한 짐승, 나의 울음, 한밤내 운다.(자신의 부정적인 모습으 로 괴로워하고 슬퍼한다.)

 

8. 자 그럼 화자가 처한 상황을 이해 하겠지. 한번 정리해 보자.

☞ 다가가고 싶은 존재가 접근을 쉬 허락하지 않기때문에 괴로워하고 슬퍼한다.

 

9. 이런 절망적인 상황을 얘기한 시어를 찾아 보아라.

☞ 무명의 어둠

 

10. 이런 무명의 어둠 즉 절망적인 상황에서 화자가 하는 행위는 ?

☞ 추억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한밤내 운다,돌개바람이 되어 탑을 흔 든다.

 

11. 그런 행위들이 뜻하는 바는 ?

☞ 절망적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대상의 실체에 다가가기 위 한 끝없는 노력을 한다.

#.참고 : 존재의 본질을 쉬 드러내지 않는 단단하고 묵묵한 돌탑을 흔 들어 대상의 본질에 다가 서려는 노력

 

12. 그런데 과연 화자는 끝내 어떻게 될까? 울다가 세월 다 보내고 끝나 는 걸까? ……

 

13. 대상의 인식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결과는 무엇인가 ?

☞ 돌에까지 스미면 금이 될 것이다.(실체 파악의 가능성이 엿보임)

 

14. 대상을 가리키는 시구가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비교해 보자. 그 변화의 속뜻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 까마득한 미지의 어둠 ⇒ 얼굴을 가린 나의 신부여.

☞ 아직 그 실체에 다가간건 아니지만 완전한 어둠에서 약간은 실체에 다가간 듯하네요.

 

15. 5연의 '나의 신부'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

☞ 언젠가는 얼굴을 드러낼 것이다.(아직까지는 얼굴을 가린 상태이지 만 대상이 너울을 가린 저 편에 얼굴을 가진 존재임을 알고 있는 한 그리고 그 가린 너울을 벗겨 내려는 치열한 노력이 있는 한 언젠기는 얼굴을 마주 보게 될 것이다.)

 

16. 이 시에서 말하는 '너'는 무엇일까?

☞ 꽃

 

17. 기껏 꽃 한 송이를 두고 실체를 알 수 있느니 없느니 울고 불고 야단 인데 도대체 뭘 얘기하고자 하는 걸까 ?

☞ 불가지론, 뭐 그런 철학적 내용이 아닐까요

☞ 그래 맞아. 우리가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 쉬울 것 같지만 실은 그렇 지 않단다. 뿐만아니라 그것이 대상의 본질, 대상 그 자체라고 생각 하고 있는 것 중에도 그렇지 않은 것도 또한 많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