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 千祥炳
외롭게 살다 외롭게 죽을
내 영혼의 빈터에
새 날이 와,새가 울고 꽃이 필 때는,
내가 죽는 날
그 다음 날.
산다는 것과
아름다운 것과
사랑한다는 것과의 노래가
한창인 때에
나는 도랑과 나무가지에 앉은
한 마리 새.
정감(情感)에 가득찬 계절
슬픔과 기쁨의 주일(週日)
알고 모르고 잊고 하는 사이에
새여 너는
낡은 목청을 뽑아라.
살아서
좋은 일도 있었다고
나쁜 일도 있었다고
그렇게 우는 한 마리 새.
(시집 새, 1971)
<감상의 길잡이>
천상병의 시는 초기부터 말기까지 끊임없이 가난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평생을 일정한 직업도 없이 완전한 자유인으로서 살아가던 그였기에 가난은 결코 그가 떨쳐 버릴 수 없던 운명 같은 것이었지 모른다. 그의 ‘가난’은 <소릉조(小陵調)>의 ‘저승 가는데도 / 여비가 든다면 // 나는 영영 가지도 못하나?’에서 한 정점을 보여 준다. 그러나 시인은 지긋지긋한 가난의 극한에서도 괴로워하거나 좌절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생각느니, 아, / 인생은 얼마나 깊은 것인가’라는 달관의 경지로 뛰어넘는 명상적 세계를 펼쳐 보인다. 가난하기에 저승에 갈 염려도 없고, 그래서 행복하다는 역설의 진실을 가지고 살던 시인은 이 작품 <새>를 통해 <귀천>의 ‘하늘로 돌아갈’ 수 있는 소중한 ‘날개’를 얻게 된다. 새는 인간이 신성(神性)에 근접할 수 있는 상징적 매개체가 되는 것으로, 유한적 존재인 인간이 하늘에 오르고 싶어하는 비상(飛翔) 의지를 표상하기 때문이다.
시인은 곤궁한 삶을 살아가면서도 그 삶을 고통스러워하거나 세상에 대해 원망하지 않는다. 그는 남들이 소중히 여기는 부귀나 영화 같은 세속적 가치를 잊고서 아름답고 평화로운 세상을 소박하게 살아가고자 할 뿐이다. 그러나 외롭고 고달픈 ‘영혼의 빈터’에서 살고 있는 그는 자신이 꿈꾸는 ‘새 날’은 ‘내가 죽는 날, / 그 다음 날’에나 올 것을 예감하며 그 때를 머릿속으로 그려 보고 있다. 그 때 ‘살아서 / 좋은 일도 있었다고 / 나쁜 일도 있었다고 / 그렇게 우는 한 마리 새’가 되어 세상의 평화를 고요한 마음으로 응시하며 ‘낡은 목청을 뽑’을 것이라고 자신과 약속한다. 이와 같이 죽음으로써 삶을 되돌아보는 방법을 통해 비로소 삶을 아름답게 바라보게 된 시인에게서 우리는 깊은 혜안(慧眼)을 갖고 있는 선승(禪僧)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가난하기에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시인의 태도는 그로 하여금 죽음도 두렵지 않은 삶의 달관을 갖게 해 준다. 죽은 후에도 세상을 무념무상의 상태로 관조하고 싶어했던 시인은 새가 되어 ‘하늘로 돌아간’ 지금도 천상 세계에서 ‘그렇게 우는’ 모습으로 특유의 시니컬한 웃음을 짓고 있을 것이다.
'시와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버드 스타일, 30계명, 자기관리법_공부할때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모음 (0) | 2015.02.03 |
---|---|
시간의 특성, 시간은 무엇인가? (0) | 2015.01.13 |
새벽 편지_곽재구 & 희망을 위하여_[사랑하는 연인에게 읽어주면 좋은시] (0) | 2015.01.13 |
[좋은시] 귀천(歸天)_천상병(千祥炳) (0) | 2015.01.06 |
부흥-하나님의 길_에스텔레 지포드 잭슨(Estelle Gifford Jackson) (0) | 2015.01.02 |
시간의 특성_시간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0) | 2014.12.22 |
[좋은 시] 우리가 가야할 곳, 혹은 가는 길은_롱펠로우 인생찬가 中 (0) | 201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