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슐라이어마허5

슐라이어마허 [기독교 신학] 슐라이어마허 [기독교 신학] 이 책은 그의 말기의 책이면서 완숙기의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은 대단히 중요한데, 왜냐하면 19세기의 개신교 교의학에 새로운 경향을 열었기 때문이다. 슐라이어마허의 이 책(교의학)은 굉장히 탈정통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종교의식, 종교적 자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이 사람의 책은 세 단계가 있는데, 먼저 자아의 의식, 그 다음 세계, 그 다음 하나님에 관한 인식의 주제로 되어 있다. 종교적 자아에 대한 의식은 동물적 수준(자아와 세계간의 아무런 구분 이 없다.), 세계에 대한 의식은 자아가 세상으로 분리되는 단계(차츰차츰 자아의식이 생김, 또한 세상에 대해서도 자아의식이 생기며, 나중에 가서는 세계로부터 자유하게 된다. 이 때는 학문과 문명이 발달하는 계몽적 .. 2014. 1. 4.
슐라이어마허의 두 번째 대표적인 책 [신학 연구 입문] 슐라이어마허의 두 번째 대표적인 책 [신학 연구 입문] [신학 연구 입문] | 입문적 강의를 위한 신학연구의 간단한 서술 그는 1810년 베를린 대학이 창립될 때 처음부터 신학대학의 교수 일원이었다. 앞으로 개설될 강좌, 공부에 대해서 소개하기 위한 책으로 쓴 것이 이 책이다. 1811년에 초판 나왔고1830년에 개정판이 나왔는데, 이 개정판은 약 한 338섹션까지 나와 있다. 그는 ‘신학백과전서’라는 수업을 하였고 그 강의의 교과서로 사용하였다. 오늘날 신학교육이나 철학교육에서 전공의 첫 시간에 주로 개론, 입문 이런 식으로 다루어진 시도가 아마도 슐라이에르마허의 이런 작업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요약하면 슐라이에르마허가 보는 신학은 하나의 유기체이다. 유기체라는 것은 기계체와는 다.. 2014. 1. 3.
슐라이에르마허 종교론 슐라이에르마허 종교론 그의 [종교론]에 그의 신학사상이 가장 잘 나와 있다. 이 책은 다섯 가지의 변론으로 되어 있는데 제 1 강론은 변증론, 제 2 강론은 종교의 본질에 관하여, 제 3 강론은 종교교육에 관하여, 제 4 강론은 종교 내에서의 교제에 관하여, 제 5 강론은 종교들에 관하여 이다. 이 책은 이제껏 지성의 관점에서 종교를 이해해오던 사람들에 대해서 종교의 본질은 마음이라는 것을 말한 것이다. 그는 종교는 지식이나 형이상학에 속하지 않는다고 한다(헤겔에 대한 비판). 또 칸트에 대한 비판으로서 종교는 행위나 도덕도 아니다. 종교는 정서, 감정의 문제요 직관의 문제다. 종교라는 것은 우주에 대한 직관. 여기서 우주라는 말이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이라는 말이다. 그의 책에는 단 한 번도 하나님이라는.. 2014. 1. 2.
경건주의, 쉴라이에르마하의 주정주의 신학, 그리고 한국교회 경건주의, 쉴라이에르마하의 주정주의 신학, 그리고 한국교회 “기독교 신앙”은 쉴라이에르마허의 주 저서로서 다른 사람들의 교리서에 해당한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같은 것이다. 교리를 신앙이란 말로 표현한 것은 교리도 인간의 종교의식에서 나오고 인간의 종교적 자의식으로 이해하였다. 이 인간의 자의식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 즉 인간론이 먼저 나온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종교의식,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종교의식. 이 중에 중요한 것은 인간이 얼마나 자유를 확보해 가는가이다. 다시 말해 인간이 자기에 대해 어떤 종교의식, 세계, 하나님에 대해 어떤 절대 의존 감정을 지니고 있는가이다. 예수님도 하나님을 아버지로 생각하고 의존하고 있다는 식으로 생각한다. 즉 인간의 감정의 문제이다. 원죄라는 말을 쓰지 않고 죄의식.. 2013. 12. 28.
슐라이어마허 _종교론 슐라이어마허 [종교론] 세계 내 모든 존재자는 끌어당기과 밀침의 두 가지 근본 힘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신적 본질은 한편으로 외부 세계를 자신에게로 끌어 와서 그것을 향유하면서 자신에게 동화시키는 충동이며,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정신적 ․ 이성적 본성을 자신으로부터 정립하며 이것을 외부 세계에 행동으로 각인하는 충동이다. 이 두 충동은 모든 사람에게서 똑같이 발견되지만 항상 다양한 혼합 관계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개인의 다양성이 야기하는 것이다. 모든 가능한 혼합이 실제로 개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과, 각자가 다른 사람을 그의 특징에 따라 인식하고 파악함으로서 인간성의 다양함이 공동의 것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은 인간성의 완전성에 속한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 불충분한 ‘완전성’이다. 인간은 서로 파.. 2013. 12. 20.